서울에서는 불빛이 강하기 때문에 밤 하늘의 별을 보기가 여렵다.
가끔 뚜렷하게 하나 보일때가 있는데
항간에 들리는 소문으로는 '인공위성이라 별이 아니다' 라는 말을 들어본적이 있을것이다
야간에 맑은 하늘에서 관찰하면 별처럼 보이는 점들이 일정한 궤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들이 바로 인공위성일 수 있습니다.
1. 서울에서 인공위성을 볼 수 있는 이유
- 빛 공해와 밝은 인공위성: 서울처럼 빛 공해가 심한 도심에서는 어두운 별들은 잘 보이지 않지만, 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은 태양광을 반사해 종종 육안으로 관찰될 만큼 밝게 보입니다.
- 지구 저궤도 위성: 대부분의 인공위성은 고도가 낮은 **저궤도(LEO, 약 300~1,200km)**를 돌고 있어 상대적으로 쉽게 관찰됩니다.
2. 인공위성과 별의 차이
- 움직임:
- 별: 고정된 위치에 보이며 지구의 자전에 따라 천천히 이동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 인공위성: 하늘을 가로지르며 일정한 속도로 움직입니다. 망설이거나 깜빡이는 별과 달리 일정한 궤적을 그립니다.
- 밝기 변화:
- 일부 인공위성은 회전하거나 태양광 반사를 받는 각도가 달라지면서 밝기가 변하기도 합니다.
- 예를 들어, **이리듐 플레어(Iridium Flare)**는 특정 인공위성이 태양광을 강하게 반사해 별보다 밝게 빛나는 현상입니다.
- 시간대:
- 인공위성은 태양광을 반사해야 보이므로, 해가 진 직후나 해 뜨기 직전(황혼과 새벽) 시간대에 주로 관찰됩니다.
3. 서울에서 보이는 주요 인공위성
- 스타링크 위성군 (Starlink Satellites):
- 스페이스X의 인터넷 위성 네트워크로, 여러 개의 위성이 줄지어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서울에서도 이 위성들이 종종 "별 행렬"처럼 보입니다.
- 국제우주정거장 (ISS):
- 매우 밝게 보이며, 하늘을 가로지르는 속도가 빨라 인공위성 중 가장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 ISS는 태양광을 반사해 별처럼 보이지만 일정 궤적으로 5~10분 내에 사라집니다.
- 기타 지구 관측 및 통신 위성:
- 육안으로 보이는 것들은 주로 저궤도 통신 위성이나 기상 위성입니다.
4. 서울에서 인공위성을 관찰하는 방법
- 천문 앱 활용:
- Heavens-Above, Star Walk, ISS Tracker와 같은 앱으로 특정 시간에 서울에서 보이는 인공위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맑은 날씨 조건:
- 서울에서도 공기가 맑고 구름이 없는 날이면 인공위성을 쉽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 관찰 시간대:
- 해 질 무렵(저녁 7시
9시)과 새벽(4시6시)에 태양광 반사로 인공위성이 더 잘 보입니다.
- 해 질 무렵(저녁 7시
5. 별과 인공위성 혼동 줄이는 팁
- 하늘에서 빠르게 이동하는 점은 대부분 인공위성일 가능성이 큽니다.
- 깜빡거림이 없고,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도 인공위성일 확률이 높습니다.
- 별은 움직이지 않고 같은 자리에 고정된 것처럼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서울 하늘에서 보이는 일부 "별"은 실제로 인공위성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저녁 시간대에 태양광을 반사하는 인공위성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서울에서 볼 수 있는 별은 또 무엇일까?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달라지며, 서울 하늘에서 비교적 쉽게 볼 수 있는 별들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서울에서의 별 관찰 환경
- 빛 공해: 서울은 고층 건물과 조명이 많아 하늘이 밝아, 별의 밝기가 높은 것들만 관찰할 수 있습니다.
- 맑은 날: 비구름이나 미세먼지가 없는 맑은 날씨가 필수적입니다.
- 관찰 장소: 남산, 북한산, 관악산 등 도심에서 비교적 높은 곳은 별을 보기에 유리합니다.
2. 계절별로 보이는 별자리와 별
봄 (3월 ~ 5월)
- 큰곰자리 (Ursa Major): 북쪽 하늘에서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북두칠성(큰곰자리의 일부)이 눈에 띕니다.
- 목동자리 (Bootes): 아크투루스(Arcturus)라는 밝은 별이 포함되어 있으며, 북두칠성 아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처녀자리 (Virgo): 밝은 별 스피카(Spica)가 포함된 별자리로, 봄 하늘의 대표적인 별자리입니다.
여름 (6월 ~ 8월)
- 여름철 대삼각형:
- 베가 (Vega): 거문고자리의 가장 밝은 별.
- 데네브 (Deneb): 백조자리의 꼬리 부분.
- 알타이르 (Altair): 독수리자리의 밝은 별.
- 이 세 개의 별이 삼각형을 이루며 여름 밤하늘에서 뚜렷이 보입니다.
- 전갈자리 (Scorpius): 남쪽 하늘에서 찾을 수 있으며, 밝은 붉은 별 안타레스(Antares)가 포함됩니다.
가을 (9월 ~ 11월)
- 페가수스자리 (Pegasus): 큰 사각형 모양으로 구성되어 가을 하늘에서 잘 보입니다.
- 안드로메다자리 (Andromeda): 페가수스자리 옆에 위치하며, 맑은 날에는 육안으로 안드로메다 은하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 물고기자리 (Pisces): 희미한 별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서울에서도 가끔 보입니다.
겨울 (12월 ~ 2월)
- 오리온자리 (Orion):
- 밝은 별 **베텔게우스 (Betelgeuse)**와 **리겔 (Rigel)**이 포함된 가장 뚜렷한 겨울 별자리.
- 중앙의 삼태성(벨트)은 눈에 잘 띕니다.
- 큰개자리 (Canis Major):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 (Sirius)**가 포함된 별자리.
- 쌍둥이자리 (Gemini): 밝은 별 **카스토르 (Castor)**와 **폴룩스 (Pollux)**가 포함됩니다.
3. 서울에서 별을 잘 보기 위한 팁
- 빛 공해를 피하기: 남산이나 한강 주변처럼 도심보다 어두운 곳을 선택하세요.
- 천문 앱 활용: Star Walk 같은 앱을 사용하면 별자리와 별 이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밤 10시 이후 관찰: 인공 조명과 교통량이 줄어드는 시간대에 별이 더 잘 보입니다.
- 망원경이나 쌍안경 사용: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별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4. 서울에서 추천하는 천문 관측 장소
- 서울시립과학관 (노원구): 별 관찰 프로그램이 운영됩니다.
- 남산타워 주변: 도심 속에서도 높은 위치라 별이 더 잘 보이는 곳.
- 북한산 정상: 서울 외곽의 어두운 환경에서 별을 보기 적합합니다.
그렇다면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별과 관측 가능한 별은 얼마나 될까?
1. 전체 육안 관측 가능한 별의 개수
- 지구 전체 기준: 지구 전체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의 수는 약 9,000개입니다.
- 이는 모든 관측 가능한 별을 합한 수치로, 관찰자가 적도, 극지방, 또는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쪽 하늘에서:
- 지구의 한쪽 하늘(즉, 북반구 또는 남반구)에서 동시에 볼 수 있는 별의 개수는 약 4,500개입니다.
- 반구마다 보이는 별이 다르며, 같은 별이 보이지 않습니다.
2. 관측 조건에 따른 차이
- 이상적인 조건: 빛 공해가 없고 대기가 맑으며, 달빛이 없는 곳에서 별이 더 잘 보입니다. 예를 들어, 사막, 산악 지대, 해양 한가운데와 같은 지역에서 최대 수의 별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 도시 환경: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빛 공해로 인해 밝은 별들만 보이며, 실제로는 50~200개 정도만 관측 가능합니다.
- 육안 관측의 한계:
-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은 **겉보기 등급(밝기)**이 6등급 이내인 별들입니다.
- 6등급 이상의 희미한 별은 망원경을 사용해야만 볼 수 있습니다.
3. 천문 망원경을 사용한 경우
-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많은 별이 관측 가능합니다.
- 작은 망원경을 사용하면 약 10만 개 이상의 별을 관측할 수 있고, 대형 망원경과 현대 천문학적 장비를 활용하면 수억 개 이상의 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우리 은하의 별 개수
- 우리의 은하인 **은하수(Milky Way)**에는 약 1,000억~4,000억 개의 별이 존재한다고 추정됩니다.
- 하지만 이 중 대부분은 지구에서 볼 수 없으며, 밝은 별과 가까운 별만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습니다.
5. 계절과 관찰 위치에 따른 차이
- 별은 계절에 따라 보이는 위치가 달라지며, 같은 별자리라도 북반구와 남반구에서는 다른 각도에서 관찰됩니다.
- 예: 북반구에서는 남십자자리를 볼 수 없고, 남반구에서는 북두칠성을 볼 수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이상적인 조건에서 지구 전체에서 약 9,000개의 별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도시처럼 빛 공해가 있는 환경에서는 이 중 극히 일부만 볼 수 있습니다.
'지식,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의 30%를 차지하는 잠. 자세히 알아보자 (6) | 2025.01.16 |
---|---|
비트코인과 양자컴퓨터 도대체 무엇일까? (1) | 2025.01.15 |
한국에서 볼 수 있는 자연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5.01.13 |
서서히 스며드는 중독 카페인의 유혹 (2) | 2025.01.11 |
국내 역대 참사는 무엇이 있을까? (2)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