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 편의점, 유통, 택배 등등 어디든 바코드는 정말 많이 쓰이고있다.
때때로 작동 원리가 궁금하기도 했었는데 한번 알아보자.
바코드는 제품이나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그래픽 패턴으로, 스캐너가 이를 읽고 해석하여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합니다.
바코드가 인식되는 과정은 빛의 반사와 흡수, 데이터 디코딩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아래는 바코드 인식의 원리를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한 내용입니다.
1. 바코드의 구조
- 바(bar): 검은색 막대로 빛을 흡수합니다.
- 스페이스(space): 흰색 간격으로 빛을 반사합니다.
- 패턴: 검은색과 흰색 막대의 폭과 배열이 특정 데이터를 나타냅니다.
- 숫자 및 기타 정보: 바코드 아래에 표시된 숫자와 정보는 바코드 내용의 보조적 해석을 위해 사용됩니다.
2. 스캐너의 동작 원리
바코드 스캐너는 바코드를 읽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1) 빛 발사
- 스캐너는 적색 레이저 또는 LED를 사용하여 바코드 표면에 빛을 비춥니다.
- 일반적으로 붉은색 빛이 사용되는데, 이는 바코드의 명암 대비를 명확히 구별하기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2) 빛 반사와 감지
- 검은 막대는 빛을 흡수하고, 흰색 간격은 빛을 반사합니다.
- 반사된 빛은 스캐너 내부의 광센서(포토다이오드)로 전달됩니다.
- 흰색과 검은색 영역의 빛 반사 강도 차이를 이용해 명암을 구분합니다.
3) 전기 신호로 변환
- 광센서는 반사된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합니다.
- 흰색은 강한 전기 신호, 검은색은 약한 전기 신호로 나타납니다.
- 이러한 신호는 디지털 데이터(1과 0의 형태)로 변환됩니다.
3. 디코딩 과정
1) 패턴 분석
- 디지털 데이터는 바코드의 폭과 배열을 기반으로 특정 규칙에 따라 분석됩니다.
- 각 바코드 유형(예: EAN-13, QR 코드 등)은 고유한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데이터 변환
- 분석된 패턴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검색하거나 특정 코드를 반환하는 형태로 처리됩니다.
3) 결과 출력
- 스캐너가 읽은 데이터는 POS(Point of Sale) 시스템, 창고 관리 소프트웨어 등으로 전달되어 사용됩니다.
4. 바코드 인식이 가능한 이유
1) 명암 대비
- 바코드는 명암 대비가 강하게 설계되어 있어 스캐너가 쉽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2) 정확한 규격
- 바코드는 국제 표준 규격(ISO/IEC)으로 정의되어 있어, 다양한 스캐너가 동일한 방법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3) 광학 기술
- 레이저와 LED 기술 덕분에 스캐너는 빠르고 정확하게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5. 바코드 기술의 한계와 극복
- 한계: 손상되거나 왜곡된 바코드는 읽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극복: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QR코드와 같은 2차원 코드를 개발하였으며, 더 많은 데이터를 담고 손상에도 강한 내구성을 가집니다.
핸드폰 카메라 기능만 갖다대어도 링크가 뜨는게 정말 신기하다
그렇다면 요즘 정말 많이 쓰이는 QR코드는 어떤 작동 원리를 가졌을까?
QR코드(Quick Response Code)는 2차원 바코드의 일종으로, 정보를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저장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담을 수 있는 기술입니다. QR코드는 스마트폰이나 스캐너를 통해 빠르게 읽히며, 정보를 텍스트, URL, 연락처 등 다양한 형태로 전달합니다.
아래는 QR코드가 작동되는 원리를 단계적으로 설명한 내용입니다.
1. QR코드의 구조
QR코드는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고유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위치 탐지 패턴
- QR코드의 세 모서리에 있는 큰 정사각형 패턴은 스캐너가 QR코드의 위치와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스캐너는 이 패턴을 기반으로 QR코드가 기울어지거나 회전된 상태에서도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2) 정렬 패턴
- QR코드 내부의 작은 정사각형은 왜곡을 보정하고 정확한 해석을 보장합니다.
3) 시간 패턴
- QR코드의 가로 및 세로 선은 데이터 셀의 크기와 위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4) 데이터 영역
- QR코드의 나머지 부분은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입니다.
- 이 데이터는 바이너리 값(0과 1)으로 저장됩니다.
2. QR코드 작동 원리
QR코드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스캔
- QR코드 스캐너 또는 스마트폰 카메라가 QR코드를 촬영합니다.
- 촬영된 이미지는 디지털 형태로 저장됩니다.
2) 위치 및 방향 감지
- 스캐너는 위치 탐지 패턴을 분석하여 QR코드의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파악합니다.
- 이 과정에서 QR코드가 회전되거나 기울어져 있어도 문제없이 인식할 수 있습니다.
3) 데이터 디코딩
- 스캐너는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패턴을 읽어 바이너리 값으로 변환합니다.
- 변환된 값은 ECC(Error Correction Code)를 사용하여 오류를 보정합니다.
- ECC는 데이터 일부가 손상되어도 원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게 합니다.
- QR코드는 최대 30%의 손상에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4) 데이터 변환
- 복원된 바이너리 데이터를 문자, URL, 이미지 등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합니다.
5) 결과 출력
- 변환된 데이터는 브라우저를 통해 웹사이트로 연결되거나, 텍스트로 표시되거나, 특정 명령을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3. QR코드의 데이터 저장 방식
QR코드는 데이터를 압축하여 작은 공간에 저장합니다.
- 데이터 형식: 숫자, 문자, 바이너리, 일본어 등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지원합니다.
- 데이터 용량: QR코드는 최대 약 7,000개의 숫자 또는 약 4,200개의 알파벳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저장됩니다:
- 데이터 유형을 나타내는 메타정보.
- 데이터 자체.
- 오류 정정을 위한 ECC 정보.
4. QR코드의 장점
- 빠른 스캔 속도: QR코드는 바코드보다 훨씬 빠르게 스캔됩니다.
- 높은 내구성: 손상이나 오염에도 데이터 복원이 가능합니다.
- 다양한 데이터 저장: 숫자, 텍스트, URL,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5. QR코드의 한계와 대안
- 한계: QR코드가 완전히 가려지거나 손상된 경우 인식이 어렵습니다.
- 대안: NFC나 RFID 같은 무선 데이터 전송 기술이 QR코드의 일부 용도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편리하게 발전되는 기술이 너무나도 감사하다.
'지식,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 미세먼지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5.01.22 |
---|---|
다양한 종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1) | 2025.01.19 |
안될걸 알면서도 출마하는 대통령 후보. 이유가 뭘까? (1) | 2025.01.17 |
인생의 30%를 차지하는 잠. 자세히 알아보자 (4) | 2025.01.16 |
비트코인과 양자컴퓨터 도대체 무엇일까?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