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95년생 정도만 해도 주민등록번호 생성기의 존재를 아는 분들이 꽤 있을듯하다
주민등록 번호에 각 자리마다 의미가 있는 배열로 생성이 된다
1. 주민등록번호의 구조
코드 복사
YYMMDD - SXXXXXX
- 앞 6자리 (YYMMDD): 출생 연월일
- 예: 1990년 5월 21일 출생 → 900521
- 뒤 7자리:
- 1자리: 성별 및 세기
- 2~5자리: 지역 코드
- 6자리: 출생 순서
- 7자리: 검증 번호 (체크 디지트)
2. 세부 생성 과정
① 앞 6자리 (출생 연월일)
-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 1990년 5월 21일 출생자는 900521로 시작합니다.
② 뒤 7자리의 첫 번째 숫자 (성별 및 세기)
- 첫 번째 숫자는 성별과 출생 세기를 나타냅니다.
- 1: 1900~1999년에 출생한 남성
- 2: 1900~1999년에 출생한 여성
- 3: 2000~2099년에 출생한 남성
- 4: 2000~2099년에 출생한 여성
- 5, 6: 외국인 등록번호 (5는 남성, 6은 여성)
- (( 예: 1990년 출생 남성 → 1, 2005년 출생 여성 → 4 ))
③ 지역 코드 (2~5번째 숫자)
- 출생 신고가 이루어진 행정 구역을 기준으로 설정됩니다.
- 지역 번호는 행정구역별 고유 번호를 사용하며,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는 00~08번 등이 사용됩니다.
④ 출생 순서 (6번째 숫자)
- 동일한 지역에서 같은 날 태어난 사람의 순서를 나타냅니다.
- 예: 같은 날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난 첫 번째 사람은 0, 두 번째 사람은 1.
⑤ 마지막 숫자 (체크 디지트)
- 마지막 숫자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검증 알고리즘에 따라 계산됩니다.
- 체크 디지트는 앞 12자리를 기반으로 특정 공식에 의해 계산됩니다. (Luhn 알고리즘 변형 사용)
3. 주민등록번호의 체크 디지트 계산
- 앞 12자리 숫자에 각각 가중치를 곱합니다.
- 가중치: [2, 3, 4, 5, 6, 7, 8, 9, 2, 3, 4, 5]
- 곱한 값을 모두 더합니다.
- 합계를 11로 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
- 11에서 나머지를 뺀 결과를 구합니다.
- 결과가 10 이상이면 마지막 자리는 나머지 값의 마지막 숫자를 사용합니다.
예시
- 주민등록번호: 900521-123456?
- 앞 6자리: 900521 (출생일)
- 첫 번째 숫자: 1 (성별 및 세기: 1900년대 남성)
- 지역 코드: 2345 (예: 특정 지역 코드)
- 출생 순서: 6
- 마지막 숫자: 체크 디지트로 계산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그럼 이제 전화번호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전화번호는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와 국가 정책에 따라 특정한 규칙과 체계에 따라 생성됩니다. 한국의 전화번호 체계는 국가번호, 지역번호(또는 식별번호), 가입자 번호로 구성되며, 각 부분이 특정한 목적과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전화번호의 기본 구조
한국의 일반적인 전화번호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따릅니다:
① 국내 전화번호
코드 복사
0XX - XXXX - XXXX
- 0XX: 지역번호 또는 이동통신 식별번호
- 지역번호: 지역을 나타냄 (예: 02는 서울, 051은 부산)
- 이동통신 번호: 이동통신사를 구분 (예: 010은 모바일 번호)
- XXXX - XXXX: 가입자 번호
- 특정 사용자에게 할당된 고유 번호
② 국제 전화번호
diff
코드 복사
+82 - XX - XXXX - XXXX
- +82: 한국의 국가 코드
- 0XX: 지역번호 또는 이동통신 식별번호 (국제 전화에서는 앞의 0을 생략)
- XXXX - XXXX: 가입자 번호
2. 번호 생성 과정
① 국가 및 지역 번호의 할당
- 국가번호: 국제 전기통신연합(ITU-T)이 각 국가에 고유 번호를 부여합니다. 한국은 +82입니다.
- 지역번호: 정부가 특정 지역에 부여하는 번호로, 한국에서는 방송통신위원회가 관리합니다.
- 1. 서울 및 수도권
- 02: 서울특별시
2. 경기도- 031: 경기도 전체
- 예: 수원, 고양, 성남, 안양 등
3. 인천 및 경기 서부- 032: 인천광역시와 일부 경기 서부 지역
- 예: 부천, 김포 등
4. 강원도- 033: 강원도 전체
- 예: 춘천, 원주, 강릉 등
5. 대전 및 충청권- 041: 충청남도
- 예: 천안, 아산, 공주 등
- 042: 대전광역시
- 043: 충청북도
- 예: 청주, 충주 등
6. 광주 및 전라권- 061: 전라남도
- 예: 여수, 순천, 목포 등
- 062: 광주광역시
- 063: 전라북도
- 예: 전주, 군산 등
7. 대구 및 경북권- 053: 대구광역시
- 054: 경상북도
- 예: 포항, 경주, 구미 등
8. 부산 및 경남권- 051: 부산광역시
- 055: 경상남도
- 예: 창원, 김해, 진주 등
9. 울산- 052: 울산광역시
10. 제주특별자치도- 064: 제주도 전체
- 예: 제주, 서귀포 등
특수한 번호- 070: 인터넷 전화 (지역과 무관)
- 080: 수신자 부담 전화번호
- 1. 서울 및 수도권
② 이동통신 식별번호
- 010: 현재 모든 모바일 번호는 010으로 통합되었습니다.
- 과거에는 011, 016, 017, 018, 019 등으로 이동통신사를 구분했으나, 번호 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사용자 편의를 위해 2014년 이후 010으로 통합되었습니다.
③ 가입자 번호 생성
- 이동통신사(예: SKT, KT, LG U+) 또는 유선통신 사업자가 새 가입자에게 할당할 고유 번호를 생성합니다.
- 할당 과정:
- 통신사가 관리하는 번호 자원에서 사용 가능한 번호를 검색.
- 기존 사용자와 중복되지 않도록 새로운 번호를 생성.
- 사용자가 특정 번호를 요청할 경우, 가용 여부에 따라 할당.
④ 번호 재사용
- 해지된 전화번호는 일정 기간(통상 6개월) 동안 재사용하지 않으며, 이후 새로운 가입자에게 재할당됩니다. 이는 이전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조치입니다.
3. 특별 번호
- 긴급전화: 112(경찰), 119(소방 및 응급), 1339(의료 상담) 등.
- 기업 또는 기관 번호: 1588-XXXX, 1577-XXXX 등. 이 번호는 특정 기업이나 기관에 의해 구매되어 사용됩니다.
4. 번호 자원의 관리
- 번호 자원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효율적 관리가 중요합니다.
- 한국은 010 통합 정책으로 휴대전화 번호 자원의 고갈 문제를 방지하고 있으며, 새로운 통신 기술이 도입되면 번호 체계가 개편될 수 있습니다.
간혹 앞자리와 뒷자리를 선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전화번호의 앞자리 선택
① 앞자리는 제한적으로 선택 가능
- 휴대전화 (010):
- 한국의 모든 휴대전화는 010으로 통합되어 앞자리를 선택할 수 없습니다.
- 과거에는 011, 016 등 이동통신사별로 다른 번호를 사용했지만, 2014년 이후 모두 010으로 통합되었습니다.
- 유선전화 (지역번호):
- 유선전화의 경우 지역번호는 사용자의 주소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됩니다.
- 예: 서울 → 02, 부산 → 051, 대구 → 053 등.
② 기업용 번호 (1577, 1588 등):
- 특정 번호는 기업이 통신사와 협의해 유료로 구매하거나 신청하여 할당받습니다. 개인 사용자는 이 번호를 선택할 수 없습니다.
2. 전화번호의 뒷자리 선택
① 번호 선택 가능 여부
- 통신사에 따라, 번호가 새로 개통될 때 사용 가능한 번호 중에서 뒷자리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 고객이 원하는 특정 번호(예: 생일, 기억하기 쉬운 번호)가 있다면, 통신사에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제한 사항:
- 이미 사용 중인 번호는 선택 불가능합니다.
- 일부 "예쁜 번호"(연속되거나 반복되는 번호)는 추가 요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② 번호 재사용
- 해지된 번호는 일정 기간(통상 6개월) 후 다시 할당됩니다. 따라서 해지된 번호를 요청할 경우, 대기 기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예쁜 번호와 번호 경매
① 예쁜 번호
- 숫자가 기억하기 쉬운 조합(예: 1234, 7777, 1004 등)은 "예쁜 번호"로 간주되어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통신사에서 특별히 관리하며, 일반 번호보다 인기가 많아 경쟁률이 높습니다.
② 경매 및 프리미엄 번호
- 사업자 번호나 특수 목적을 위한 번호는 경매를 통해 구매할 수 있습니다.
- 예: 080 무료전화번호, 070 인터넷전화번호.
4. 번호 변경 시 선택 가능성
전화번호를 변경할 때,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가용 번호 리스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모든 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통신사의 정책과 지역 자원에 따라 달라집니다.
결론
- 앞자리: 휴대전화는 고정(010), 유선전화는 지역번호에 따라 자동 결정.
- 뒷자리: 가용 번호 중 선택 가능하며, 특정 번호는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
'지식,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서히 스며드는 중독 카페인의 유혹 (1) | 2025.01.11 |
---|---|
국내 역대 참사는 무엇이 있을까? (0) | 2025.01.10 |
시대별 주요 감염병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1.08 |
비문증과 녹내장의 위험 눈을 비비면 왜 안좋을까? (1) | 2025.01.07 |
야채와 채소의 차이, 과일과 농약순위에 대해 알아보자 (3)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