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상식

단기채권? 거치적금? 국채? 돈과 주식에 관련된 용어를 알아보자

 

 

뉴스나 은행, 상품 적금, 미국주식 등등 다양한 돈에 관련된 용어가 있다

오늘은 대충 이해했던 돈에 관련된 용어를 다양하게 알아보자

 

1. 환율 (Exchange Rate)

환율은 한 나라의 화폐가 다른 나라의 화폐와 교환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1) 환율의 종류

  • 고정 환율제 (Fixed Exchange Rate): 정부나 중앙은행이 환율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방식.
  • 변동 환율제 (Floating Exchange Rate): 외환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환율이 변동하는 방식.
  • 환매 기준율 (Base Exchange Rate): 은행이 외환을 거래할 때 기준으로 삼는 환율.
  • 매도 환율 (Selling Rate): 은행이 외화를 판매할 때 적용하는 환율.
  • 매입 환율 (Buying Rate): 은행이 외화를 매입할 때 적용하는 환율.
  • 스팟 환율 (Spot Exchange Rate): 거래일로부터 2 영업일 이내에 결제되는 환율.
  • 선물 환율 (Forward Exchange Rate): 미래의 특정 시점에 적용될 환율.

2. 금리 (Interest Rate)

금리는 돈을 빌리거나 맡길 때 적용되는 이자율을 의미합니다.

(1) 금리의 종류

  • 기준 금리 (Base Rate):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에 적용하는 금리로, 시장 금리에 영향을 줌.
  • 시장 금리 (Market Interest Rate): 금융 시장에서 형성되는 금리.
  • 정기 예금 금리 (Fixed Deposit Rate): 일정 기간 예치하는 예금에 적용되는 금리.
  • 대출 금리 (Loan Interest Rate):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릴 때 적용되는 금리.
  • 명목 금리 (Nominal Interest Rate):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지 않은 금리.
  • 실질 금리 (Real Interest Rate): 명목 금리에서 물가 상승률을 뺀 금리.

3. 채권 (Bond)

채권은 정부나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투자자로부터 돈을 빌리고, 일정 기간 후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1) 채권의 종류

  • 국채 (Government Bond):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신뢰도가 높음.
  • 지방채 (Municipal Bond):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는 채권.
  • 회사채 (Corporate Bond):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으로, 신용 등급에 따라 리스크가 다름.
  • 단기 채권 (Short-term Bond): 만기가 1년 이하인 채권.
  • 장기 채권 (Long-term Bond): 만기가 1년 이상인 채권.
  • 이표 채권 (Coupon Bond):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
  • 할인 채권 (Discount Bond): 액면가보다 낮은 가격에 발행되며, 만기 시 액면가를 지급하는 채권.

4. 예금 및 적금

은행이나 금융기관에 돈을 맡기는 방법입니다.

(1) 예금의 종류

  • 정기예금 (Fixed Deposit): 일정 기간 돈을 맡기고,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지급받는 상품.
  •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 (Demand Deposit):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지만 금리는 낮음.
  • 양도성예금증서 (CD, Certificate of Deposit): 일정 기간이 지나야 인출할 수 있는 예금증서.

(2) 적금의 종류

  • 거치식 적금 (Lump-sum Savings): 일정 금액을 한 번에 예치하고 만기 시 찾는 상품.
  • 자유적금 (Flexible Installment Savings):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납입하는 적금.

5. 투자 및 금융상품

금융 시장에서 자산을 증식하는 다양한 방법을 의미합니다.

(1) 주식 관련 용어

  • ETF (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펀드.
  • 공모주 (IPO, Initial Public Offering): 기업이 처음으로 주식을 공개하는 것.
  • 배당 (Dividend): 기업이 주주에게 수익의 일부를 지급하는 것.
  • PER (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
  • PBR (Price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주가를 주당 순자산(BPS)으로 나눈 값.
  •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기업의 자기 자본 대비 순이익 비율.

(2) 개인 연금 및 절세 상품

  • ISA (Individual Savings Account,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다양한 금융 상품을 한 계좌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세제 혜택이 있는 계좌.
  • IRP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개인형 퇴직연금): 퇴직 후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연금 상품.
  • 연금저축 (Pension Savings): 개인이 노후 대비를 위해 가입하는 연금 상품.

(3) 채권 및 단기 금융상품

  • RP (Repurchase Agreement, 환매조건부채권): 일정 기간 후 다시 매입하는 조건으로 발행되는 단기 금융상품.
  • CP (Commercial Paper, 기업어음): 기업이 단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어음.
  • MMF (Money Market Fund): 단기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로, 높은 유동성을 가짐.

(4) 파생상품

  • 선물 (Futures): 특정 상품을 미래의 정해진 시점에 약속된 가격으로 매매하는 계약.
  • 옵션 (Options): 특정 가격에 자산을 매매할 권리를 부여하는 계약.

 

 

특히 주식에선 시간외거래, 장후거래, 단일가 등등

대충 넘어면서 이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번 알아보자

 

 

 

1. 주식 거래 시간 개요

주식 시장은 정규 거래 시간 외에도 매매가 가능한 시간대가 있으며, 이를 시간외 거래라고 합니다.

  • 정규장 (장중 거래): 09:00 ~ 15:30
  • 시간외 거래
    • 장전 시간외 거래: 08:30 ~ 08:40
    • 장후 시간외 거래: 15:40 ~ 16:00
    • 시간외 단일가 거래: 16:00 ~ 18:00

2. 시간외 거래 종류 및 설명

(1) 장전 시간외 거래 (Pre-market Trading)

  • 거래 시간: 08:30 ~ 08:40
  • 거래 방식: 전일 종가로 매매
  • 체결 방식: 선착순 매매 (자동 체결)
  • 특징:
    • 전날 종가로 거래 가능하므로, 시초가를 예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
    • 주문 수량이 많지 않아 체결이 어려울 수도 있음.

(2) 정규장 (Regular Trading)

  • 거래 시간: 09:00 ~ 15:30
  • 거래 방식: 실시간 매매 (호가에 따라 즉시 체결)
  • 체결 방식: 가격 우선, 시간 우선 원칙 적용
  • 특징: 가장 활발하게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간대

(3) 장후 시간외 거래 (Post-market Trading)

  • 거래 시간: 15:40 ~ 16:00
  • 거래 방식: 당일 종가로 매매
  • 체결 방식: 선착순 매매 (자동 체결)
  • 특징:
    • 당일 종가로 추가 거래가 가능하여, 장 마감 후에도 매매할 기회가 있음.
    • 주문 수량이 적으면 체결이 어렵거나 거래량이 적을 수 있음.

(4) 시간외 단일가 거래 (After-hours Single Price Trading)

  • 거래 시간: 16:00 ~ 18:00
  • 거래 방식: 10분 단위로 단일가 매매
  • 체결 방식: 10분 단위로 거래 체결 (단일가 매매 방식 적용)
  • 특징:
    • 10분 간격으로 주문을 모아서 한꺼번에 체결되므로 가격 변동이 클 수 있음.
    • 당일 종가 대비 ±10% 가격 변동 범위 내에서 거래 가능.
    • 주로 공시 발표 후 변동성이 클 때 활용됨.

3. 추가적인 헷갈리기 쉬운 주식 용어

(1) 동시호가 (Simultaneous Bidding)

  • 정의: 매수와 매도 주문을 한꺼번에 접수받은 후, 특정 시간에 동시에 체결하는 방식.
  • 적용 시간:
    • 장 시작 전 (08:30 ~ 09:00) → 시초가 결정
    • 장 마감 전 (15:20 ~ 15:30) → 종가 결정
  • 특징:
    • 거래를 공정하게 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
    • 주문은 가능하지만 체결은 특정 시간에 한꺼번에 이루어짐.

(2) 단일가 매매 (Single Price Trading)

  • 정의: 일정 시간 동안 주문을 모은 후, 한 번에 체결하는 방식.
  • 적용되는 경우:
    • 시간외 단일가 거래 (16:00 ~ 18:00)
    • 거래 정지 후 재개될 때 (단일가 매매 적용 가능)
    •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된 경우

(3) 시가 (Opening Price) & 종가 (Closing Price)

  • 시가 (Opening Price): 정규장이 시작할 때 형성되는 가격. (동시호가로 결정됨)
  • 종가 (Closing Price): 정규장이 종료될 때 형성되는 가격. (동시호가로 결정됨)

(4) 상한가 & 하한가

  • 상한가 (Upper Limit Price): 하루 동안 주식 가격이 오를 수 있는 최대 한도 (+30%).
  • 하한가 (Lower Limit Price): 하루 동안 주식 가격이 내릴 수 있는 최대 한도 (-30%).

(5) 시초가 & 종가 매매

  • 시초가 매매: 동시호가를 이용해 장이 시작할 때 첫 체결 가격으로 매수·매도하는 것.
  • 종가 매매: 장 마감 전 동시호가를 이용해 종가로 매매하는 것.

4. 시간외 거래 활용법

(1) 장전 시간외 거래 활용법

  • 전날 종가로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급등 또는 급락이 예상되는 종목을 미리 매매하는 데 유용함.

(2) 장후 시간외 거래 활용법

  • 당일 종가로 추가 매매가 가능하므로, 장중 거래를 놓친 투자자들이 활용할 수 있음.

(3) 시간외 단일가 거래 활용법

  • 공시나 뉴스가 발표된 후 시간외 주가 변동성을 이용할 수 있음.
  • 급등 또는 급락 예상 시 리스크 관리에 활용 가능.

5. 요약

구분거래 시간거래 방식체결 방식

장전 시간외 거래 08:30 ~ 08:40 전일 종가 선착순 자동 체결
정규장 09:00 ~ 15:30 실시간 매매 가격/시간 우선 체결
장후 시간외 거래 15:40 ~ 16:00 당일 종가 선착순 자동 체결
시간외 단일가 거래 16:00 ~ 18:00 변동 가능 (±10%) 10분 단위 단일가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