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브랜드 기업 탐구

초콜릿의 대표 기업 허쉬. 알아보자

 

어렸을적 허쉬 드링크, 초콜릿을 먹어본적이 있는가

필자는 기차에서 부모님이 사주셨던 허쉬 드링크가 늘 생각이 난다

요즘은 초콜릿 경쟁 업체도 많아졌고

가격도 많이 오른지라 다소 찾지 않게 되긴 하더라

초콜릿 원자재가 전쟁 무역이 일어날정도로 이슈가 있었다

오랫동안 배당을 해온 주식이기도 한 허쉬 알아보자.

 

 

허쉬(Hershey)는 미국의 대표적인 초콜릿 회사로, 공식 명칭은 The Hershey Company입니다.

1. 최초 설립자

허쉬의 창립자는 **밀턴 S. 허쉬(Milton S. Hershey, 1857~1945)**입니다. 그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에서 태어나 가난한 어린 시절을 보냈지만, 제과 사업에 대한 열정으로 성공한 기업가가 되었습니다.

밀턴 허쉬는 여러 번의 사업 실패 끝에 1886년 **"랭커스터 캐러멜 컴퍼니(Lancaster Caramel Company)"**를 설립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이후 초콜릿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1900년 캐러멜 회사를 매각한 뒤, 초콜릿 제조에 집중하기 위해 **1905년 "허쉬 초콜릿 회사(Hershey Chocolate Company)"**를 공식 설립했습니다.

2. 최초 매장

허쉬는 처음에는 매장을 직접 운영하기보다는 공장에서 생산한 초콜릿을 미국 전역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확장했습니다. 그러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소비자들에게 직접 판매하기 위해 **허쉬의 첫 공식 매장(Hershey’s first official store)**은 20세기 중반에 뉴욕의 **타임스퀘어(Times Square, New York)**에 위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대표적인 허쉬 매장으로는:

  • 허쉬 초콜릿 월드(Hershey’s Chocolate World, 1973년 오픈): 펜실베이니아주 허쉬(Hershey)시에 위치한 브랜드 체험형 매장으로, 초콜릿 제조 과정 투어 및 다양한 제품을 체험할 수 있음.
  • 허쉬 타임스퀘어 매장(Hershey’s Chocolate World Times Square): 뉴욕의 중심부에 위치한 플래그십 스토어로, 다양한 허쉬 제품과 기념품을 판매함.

3. 밀턴 허쉬의 사회적 기여

밀턴 허쉬는 초콜릿 제국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단순한 기업가가 아니라 사회 공헌에도 적극적이었습니다. 그는 직원들을 위해 **허쉬 타운(Hershey, Pennsylvania)**이라는 도시를 건설하고, 교육을 위해 **밀턴 허쉬 스쿨(Milton Hershey School, 1909년 설립)**을 세워 지금까지도 장학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허쉬는 현재 세계적인 초콜릿 브랜드로 자리 잡았으며, 허쉬 키세스(Hershey's Kisses), 리즈(Reese’s), 키트캣(KitKat, 미국 내 라이선스 제품) 등 인기 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오래된 배당기업으로 투가 가치도 꽤 높다

알아보자

 

 

허쉬(Hershey) 기업의 주가, 매출 추세, 배당 성장률 정보

1. 주가 및 시가총액

  • 현재 허쉬(HSY) 주가는 약 $172.49 (2025년 2월 기준).
  • 시가총액은 약 $34.96B (349억 6천만 달러).

2. 연도별 매출 추세

연도매출 (억 달러)성장률

2024 112.0 +0.33%
2023 111.6 +7.16%
2022 104.2 +16.14%
2021 89.7 +10.08%
2020 81.5 +2.05%
  • 2024년 매출 성장률이 **0.33%**로 둔화.
  • 2022년에는 16.14% 성장하는 등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이후 감소세.
  • 2024년 4분기 매출은 28.9억 달러, 8.67% 증가.

3. 배당 성장 및 배당률

  • 연간 배당금: $5.48
  • 배당 수익률(배당률): 3.18%
  • 배당 성장 기록:
    • 지난 15년간 연속 배당 증가
    • 3년 평균 배당 성장률: 17.13%
    • 5년 평균 배당 성장률: 5.41%
  • 분기별 배당금 지급액:
    • 2025년 3월: $1.37
    • 2024년 12월: $1.37
    • 2024년 9월: $1.37
    • 2024년 6월: $1.37

4. 배당 성향 (Payout Ratio)

  • 2024년 배당 성향: 50.28% (순이익 대비 배당금 지급 비율).
  • 과거 13년간 배당 성향 범위: 45% ~ 59%
  • 이익의 절반 정도를 배당으로 지급하며, 안정적인 배당 지급이 가능함을 의미.

5. 향후 전망

  • 배당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 배당률(3.18%)도 안정적.
  • 최근 매출 성장률 둔화로 인해, 향후 배당 증가율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음.
  • 초콜릿 원재료인 코코아 가격 상승으로 인해 비용 부담 증가 가능성이 있어 투자 시 유의할 필요가 있음.

 

그리고 가격 상승이 많이 이슈가 되었는데

이유는 뭘까?

 

코코아

 

코코아 가격 폭등과 허쉬에 미치는 영향

1. 코코아 가격 폭등의 원인

최근 코코아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전 세계 초콜릿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1년간 코코아 가격이 2배 상승했고, 2024년 들어서만 약 40%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급등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후 변화로 인한 생산량 감소: 세계 코코아 생산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서아프리카(코트디부아르, 가나) 지역이 엘니뇨 현상과 병충해 피해를 입어 생산량이 급감했습니다. 2023~2024년 시즌 코코아 생산량은 전년 대비 13.1% 감소했으며, 공급난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헤지펀드의 시장 이탈: 코코아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주요 헤지펀드들이 코코아 선물 거래에서 철수하며 시장 유동성이 급감했습니다. 이로 인해 가격 변동성이 심화되고 투기적 거래가 감소하면서 코코아 가격이 더욱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 장기적 공급 부족 예상: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2024년까지 37만 4,000톤의 공급 부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단기간 내 생산량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2. 허쉬에 미치는 영향

코코아 가격 상승은 허쉬를 포함한 초콜릿 제조업체들의 원가 부담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는 허쉬의 실적과 주가에 직격탄을 주고 있습니다.

  • 제품 가격 인상: 허쉬는 원재료 가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제품 가격을 올리고 있으며, 2023년 4분기 기준 6.5% 가격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그러나 소비자 부담이 커지면서 판매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주가 하락: 코코아 가격 급등으로 인해 허쉬의 주가는 지난 4개월 동안 약 17.3% 하락하며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투자은행 번스타인은 허쉬의 목표 주가를 177달러에서 146달러로 하향 조정했으며, 월가에서도 목표 주가를 평균 149.81달러로 낮췄습니다.
  • 수익성 악화 전망: 허쉬 CEO는 코코아 가격 변동으로 인해 올해 실적 성장에 제한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회사는 원가 절감을 위해 5%의 인력 감축을 발표했습니다.

3. 초콜릿 가격 전망

코코아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매 초콜릿 가격도 지난 2년간 약 17% 상승했습니다. 앞으로도 초콜릿 가격은 지속적으로 오를 가능성이 크며, 2024년에도 코코아 가격이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허쉬뿐만 아니라 네슬레, 몬델리즈(오레오, 토블론 브랜드 보유) 등 주요 초콜릿 업체들도 유사한 영향을 받고 있으며, 글로벌 초콜릿 업계가 원가 상승과 소비 둔화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향후 코코아 가격의 안정 여부가 허쉬의 실적과 주가에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며, 원가 절감 및 공급망 최적화 전략이 핵심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허쉬의 경쟁 업체는 무엇이 있을까?

 

 

허쉬(The Hershey Company)의 주요 경쟁 브랜드는 글로벌 초콜릿 및 제과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가진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1. 글로벌 경쟁사

① 몬델리즈 인터내셔널 (Mondelēz International)

  • 대표 브랜드: 오레오(Oreo), 토블론(Toblerone), 밀카(Milka), 캐드버리(Cadbury), 리츠(Ritz)
  • 몬델리즈는 허쉬와 함께 북미 및 글로벌 초콜릿 시장을 양분하는 거대 기업이며, 초콜릿뿐만 아니라 스낵과 비스킷 제품에서도 강한 입지를 보유.

② 마스(Mars, Incorporated)

  • 대표 브랜드: 엠앤엠즈(M&M’s), 스니커즈(Snickers), 트윅스(Twix), 갤럭시(Galaxy), 도브(Dove)
  • 마스는 초콜릿뿐만 아니라 애완동물 식품(Pedigree, Whiskas)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동하는 대기업.
  • 스니커즈와 M&M’s는 허쉬의 키세스(Hershey’s Kisses) 및 리즈(Reese’s)와 경쟁.

③ 네슬레(Nestlé)

  • 대표 브랜드: 킷캣(KitKat), 에어로(Aero), 스마트리즈(Smarties), 버터핑거(Butterfinger)
  • 허쉬는 미국 내에서 킷캣을 생산 및 판매하는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네슬레가 킷캣을 운영.
  • 네슬레는 건강식품 및 음료 사업에도 강점을 두어 시장을 다각화.

2. 미국 및 기타 지역 경쟁사

④ 린트 & 슈프룽리(Lindt & Sprüngli)

  • 대표 브랜드: 린트(Lindt), 지라델리(Ghirardelli), 러셀스토버(Russell Stover)
  • 프리미엄 초콜릿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며, 허쉬의 다크 초콜릿 및 고급 제품군과 경쟁.
  • 미국에서는 지라델리러셀스토버 브랜드를 통해 입지를 넓힘.

⑤ 페레로 그룹(Ferrero Group)

  • 대표 브랜드: 페레로로쉐(Ferrero Rocher), 누텔라(Nutella), 킨더(Kinder), 바치(Baci), 버터핑거(Butterfinger, 2018년 네슬레 미국 사업 인수)
  • 허쉬의 프리미엄 초콜릿 라인과 경쟁하며, 누텔라를 통한 스프레드 시장에서도 강한 영향력.

⑥ 고디바(Godiva)

  • 벨기에 기반의 고급 초콜릿 브랜드로, 허쉬의 고급 제품군 및 기프트용 초콜릿과 경쟁.
  • 최근 미국 내 매장 운영을 축소하고, 온라인 및 마트 중심으로 판매 전략 전환.

3. 허쉬의 대응 전략

허쉬는 미국 시장에서 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몬델리즈, 마스, 네슬레와 같은 대기업들과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최근 코코아 가격 급등으로 인해 원가 상승 압박이 커지는 가운데, 허쉬는 가격 인상, 제품 다각화, 공급망 강화 등의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