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상식

MVP? VJ? VIP? 의미는 통하지만 어떤 말일까?

 

 

일상에서 잘 쓰고 있었던 약어에 대해서 알아보자.

 

1. DJ (Disc Jockey)

  • 설명: 음악을 믹싱하거나 선곡하여 공연장에서 재생하는 사람. 클럽, 라디오, 축제 등에서 활약하며 대중의 흥을 돋구는 역할을 함.

2. BJ (Broadcast Jockey)

  • 설명: 인터넷 방송 진행자를 지칭하는 말로, 개인 방송 플랫폼(예: 아프리카TV, 유튜브 등)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시청자와 소통.

3. MVP (Most Valuable Player)

  • 설명: 경기나 대회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한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 또는 그 선수를 지칭. 스포츠뿐만 아니라 e스포츠, 회사 프로젝트에서도 사용.

4. VIP (Very Important Person)

  • 설명: 특별히 중요한 인물로 대우받는 사람. 주로 공연, 호텔, 이벤트 등에서 특별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고객을 지칭.

5. CEO (Chief Executive Officer)

  • 설명: 회사의 최고경영자를 뜻하는 약어. 회사 운영의 전반적인 책임을 지는 사람.

6. CFO (Chief Financial Officer)

  • 설명: 최고재무책임자로, 회사의 재무 관련 의사 결정을 총괄.

7. DIY (Do It Yourself)

  • 설명: 물건을 구매하지 않고 직접 제작하거나 수리하는 행위를 의미. 특히 가구, 공예 등에서 자주 사용됨.

8. FAQ (Frequently Asked Questions)

  • 설명: 자주 묻는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을 모아둔 자료. 웹사이트나 제품 설명서에서 쉽게 볼 수 있음.

9. ASAP (As Soon As Possible)

  • 설명: "가능한 한 빨리"를 의미. 주로 업무나 일상 대화에서 사용.

10. RIP (Rest In Peace)

  • 설명: "평안히 잠드소서"라는 의미로, 주로 고인을 애도할 때 사용.

11. UFO (Unidentified Flying Object)

  • 설명: 미확인 비행물체를 뜻하며, 흔히 외계 생명체와 관련지어 이야기됨.

12. LOL (Laugh Out Loud)

  • 설명: "크게 웃다"를 의미하는 인터넷 약어로, 메시지나 채팅에서 사용.

13. 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 설명: 미국 항공우주국. 우주 개발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 정부 기관.

14.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 설명: 세계보건기구. 국제 보건 문제를 다루는 유엔 산하 기관.

15. IT (Information Technology)

  • 설명: 정보기술을 뜻하며, 컴퓨터와 통신 기술을 포괄하는 용어.

16. AI (Artificial Intelligence)

  • 설명: 인공지능. 기계가 인간의 학습, 추론, 문제 해결 능력을 모방하는 기술.

17. LTE (Long Term Evolution)

  • 설명: 4세대(4G) 이동통신 기술의 한 유형.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

18. FYI (For Your Information)

  • 설명: "참고로 알려드립니다"라는 뜻으로, 주로 이메일이나 문서에서 사용.

19. P.S. (Post Script)

  • 설명: 편지나 글을 마친 후에 추가적으로 적는 내용. "추신"을 의미.

20.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 설명: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간의 경제 협력을 목표로 하는 국제 기구.

21. USB (Universal Serial Bus)

  • 설명: 컴퓨터와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로, 플래시 드라이브, 키보드, 마우스 등 다양한 기기를 연결하는 데 사용.

22.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설명: 월드 와이드 웹(WWW)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

23.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설명: 인터넷 상에서 특정 자원의 주소를 나타내는 표준 형식.

24.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설명: 컴퓨터의 핵심 처리 장치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명령을 실행하는 역할.

25. RAM (Random Access Memory)

  • 설명: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는 메모리.

26. ROM (Read-Only Memory)

  • 설명: 데이터를 읽기 전용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로, 변경되지 않는 데이터를 보관.

27. PDF (Portable Document Format)

  • 설명: 문서를 원래 형식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유할 수 있는 파일 형식.

28.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 설명: 웹사이트를 검색 엔진 결과에서 더 높은 순위에 노출되도록 최적화하는 작업.

29.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설명: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규칙과 도구의 집합.

30.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 설명: 개인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 주로 은행카드나 보안 시스템에서 사용.

31. OTA (Over-The-Air)

  • 설명: 기기를 케이블 없이 무선 네트워크로 업데이트하는 방식.

32. VPN (Virtual Private Network)

  • 설명: 인터넷 연결을 암호화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브라우징할 수 있게 하는 기술.

33. MBA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 설명: 경영학 석사 학위로, 비즈니스 및 관리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얻기 위한 과정.

34. BGM (Background Music)

  • 설명: 배경음악을 뜻하며, 영상, 게임, 방송 등에서 사용.

35. FPS (First-Person Shooter)

  • 설명: 1인칭 슈팅 게임을 의미하는 장르 용어.

36.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설명: 웹 페이지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

37. CSS (Cascading Style Sheets)

  • 설명: HTML 문서의 스타일(디자인)을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

38. FAQ (Frequently Asked Questions)

  • 설명: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을 모아둔 자료. 웹사이트에서 주로 제공.

39. AI (Artificial Intelligence)

  • 설명: 기계가 인간처럼 학습하고 추론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

40. IoT (Internet of Things)

  • 설명: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상호작용하는 기술.

41. LAN (Local Area Network)

  • 설명: 제한된 지역(예: 집, 사무실) 내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

42. WAN (Wide Area Network)

  • 설명: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인터넷이 대표적인 예.

43. UNESC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 설명: 유엔 산하의 교육, 과학, 문화 관련 국제 기구.

44. UNICEF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Children's Emergency Fund)

  • 설명: 유엔 산하의 국제 아동 구호 기구.

45.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 설명: 자동현금인출기로, 은행 거래를 스스로 처리할 수 있는 기계.

46.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 설명: 휴대전화에서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칩.

47. R&D (Research and Development)

  • 설명: 연구개발을 뜻하며, 신제품 또는 기술 개발을 위한 활동.

48. ASAP (As Soon As Possible)

  • 설명: 가능한 한 빨리. 주로 업무 이메일이나 대화에서 사용.

49.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 설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예를 들어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이 해당.

50. BYOD (Bring Your Own Device)

  • 설명: 회사에서 제공한 기기가 아니라 개인 소유의 기기를 업무에 사용하는 방식.